본문 바로가기
산업용 냉난방기

대형 돈풍기 원리 파악 및 비교 추천(전기식 등유식)

by 열정정보 2023. 1. 18.
728x90
반응형

돈풍기 종류

  • 등유식 
  • 전기식

돈풍기 즉 원적외선히터에도 등유 방식과 전기 발열 형식이 있습니다. 두 방식 중에서 등유는 열효율이 좋아 실내 실외 등 이동이 가능하여 설치가 따로 없이 사용하는 합니다. 반대로 전기 방식은 380V 3상 4 선식을 배전반과 전원연결하기 때문에 초기 공사 비용이 들지만, 냄새와 소음은 줄고 별도의 등유 구매 없이 유지관리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세계 정세와 경제로 인해서 등유 값이 폭등하여 리터당 1,700원이 들어가는 등유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전기 돈풍기(원적외선히터)를 구매하는 분들도 늘어났습니다. 

 

등유식 돈풍기 종류 및 원리

등유 버너 화력

등유식 돈풍기의 원리는 장착되어 있는 버너가 고압으로 기름을 압축시켜 반대 노즐로 분사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때 점화장치를 통해 불을 붙여 연소되어 열기를 관을 통해 난방이 됩니다. 

 

특히 관을 스태인레스로 만들어서 일정한 온도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열기가 직선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고, 온풍기와 달리 원적외선이 방출됨으로 바람이 불어도 난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버너 노즐

또한 등유식 돈풍기의 핵심 부품은 바로 노즐인데요. 기름이 분사 될 수 있도록 정밀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저가형 제품은 노즐의 고장이 빈번하니 확인 후에 구매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등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60W ~ 80W 사이로 콘센트만 연결이 된다면 어디든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야외 작업장, 휴게소, 공장 등 난방이 필요한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함으로 난방기 중에 이동 편리성이 좋습니다.

 

전기식 돈풍기 종류 및 원리

전기 돈풍기 히터

등유에서 전기로 원료만 바꿔준 것인데요. 등유의 단점을 보안한 돈풍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단점도 극명하게 있지만, 전기식은 초기 설치 이후 비용적인 부분과 관리에 있어서 손이 가는 부분이 없습니다.

 

원료를 전기로 사용하기 때문에 380V 3상 4선식(4P)으로 배전반에 직접 기계와 연결하기만 하면, 연료 고갈이나 냄새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천고가 높은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기 아주 좋은데요. 작업자가 주로 움직이는 공간에 설치하여 따뜻하게 원적외선 히터를 방출하는 원리이죠. 다만 등유에서 전기로 바뀌었을 뿐 같은 원적외선이 나가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용량 차이에서도 전기식은 최대용량이 35평형 이지만 등유는 70평형까지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식 돈풍기가 인기가 있는 이유는 바로 한 달 유지 비용 이기 때문입니다.

 

유지 비용 비교

전기는 KW당 약 140원인데요. 등유는 리터당 약 1,700원 때 입니다. 30평 기준으로 비용을 환산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 35평 전기 돈풍기(15kW) = 140원 X 15kW 시간당(2,100원)
  • 35평 등유 돈풍기(1.7L) = 1,700원 X 1.7L 시간당(2,890원)

전기 돈풍기를 한달 22일 6시간씩 가동하였을 때에는 277,200원, 등유 돈풍기는 381,480원입니다. 약 11만 원의 차이가 납니다. 보통 이렇게 차이가 나지만 물가가 잡히고 등유 가격이 내려가면 비용을 절감되지만 그 시기가 언제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래도 각 종류별로 사용되는 환경이 다르니 이점을 꼭 보시고 사용하세요. 

  • 전기식 원적외선 히터 : 물류 창고, 천고가 높은 공장, 냄새에 민감한 곳
  • 등유식 원적외선 히터 : 놀이공원, 실외 작업장, 공장, 창고 등

돈풍기 업체 제이에너텍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