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용 제습기

1000평 물류 창고 제습기, 나우이엘 NED-1085 결로 곰팡이 제거

by 열정정보 2023. 1. 10.
728x90
반응형

물류 창고 제습기 필요성 

  • 물류창고 습기 원인
  • 제습기 가동 이유 

제습기라고 하면 가정용을 떠올리는 분들이 정말 많이 계십니다. 가정의 습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산업의 환경 조성에 없어서는 안 되는 기기 중 하나가 바로 제습기입니다.

 

한반도의 고온다습한 날씨 기후인 대한민국은 이전과 다르게 가파르게 경제성장하는 하여 유통업이 세계에서 손꼽을 정도로 발달이 되고 있습니다. 

물류 창고 센터

특히 대량의 물건을 대형 물류 창고를 건설하여 보관하였다가 배송을 나가는 시스템이 빠르게 확장되면서 새벽배송 당일 배송 등 빠른 유통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이렇게 빨라지는 동시에 더 많은 물량을 보관하려는 창고들이 쿠팡을 비롯하여 우후죽순 생겨나기 시작하였고 서울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에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물류창고는 일정 온도와 습도를 지정하여서 24시간 내내 유지하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제품의 하자 방지를 위해 필수로 유지해야 합니다. 유지가 되지 않는다면 제품의 손상이 오기 때문에 그 손해비용은 가치에 따라 천차만별이 될 수 있습니다.

 

물류창고 습기 원인

그렇다면 왜 물류창고에는 습기가 많이 생기는 것일까요? 

  1. 지리적 특성
  2. 기후적 특성
  3. 잘못된 관리

첫 번째 이유로는 지리적 특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대형 물류창고의 위치는 수도권 외곽지역 고속도로가 인접하여 있는 곳에 지어졌는데요. 특히 바닥 면적이 크게 건설하기 위해서는 산 밑 또는 지리적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 건설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비용 절감 때문입니다. 물류창고 운영진은 최소 비용은 최대 효율을 얻기 위함이고, 물건만 제대로 보관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값싸고 넓은 대지를 구하는 것이죠.

 

따라서 산과 인접하여 산의 부분을 절개하여 지어지거나 강 등 열약한 환경에 지어진 물류 창고들은 습기 생성의 원인이 됩니다. 

 

두 번째로는 기후적 특성입니다. 사실 지리와 기후는 서로 상관관계가 아주 큽니다. 특히 여름철 고온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표면을 만날 때 온도편차로 결로가 생성이 되는데요. 이렇게 잘 되는 곳은 바로 물류 창고입니다. 지어진 곳이 서늘 한 산 밑에 주로 지어지거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곳에 건설되어 있습니다. 

창고 결로 발생

따라서 조금만 습도가 올라가더라도 창고 안에는 결로가 만들어지기 좋은 최적에 장소가 되는 것이죠.(고온다습한 실외공기 유입 > 서늘한 창고 > 결로 생성 > 곰팡이> 부식)

 

마지막으로는 잘못된 관리로 인해서 물류창고의 결로 문제는 해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결로의 생성은 온도편차입니다. 따라서 창고 안에서 환풍기만 지속적으로 가동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외부 공기 온도는 우리가 조절할 수 없는 불가능한 수치입니다. 

 

그래서 외부공기랑 내부공기를 환기시켜 습기를 낮추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계셨습니다. 안타깝게도 결로 더 생겨서 저희한테 연락을 주시는데요. 헷갈리지 않게 원리만 알고 가시면 결로 여러분들도 판단하고 잡을 수 있습니다.

 

제습기 가동 이유

핵심적으로 제습기는 공간 안에 있는 습한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차가운 EVA핀과 응축하여 습한 공기를 없애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수증기의 이슬점 즉 노점온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 높은 온도와 습도를 빠르게 제습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덥고 습한 곳에서 효율이 더 뛰어납니다.

 

따라서 물류창고에서의 제습기가 필수적으로 가동되는 이유이기도 하죠. 다만 물류창고 제습기가 가동이 될 때 환기구를 가동하지 말아야 하는데요. 외부 공기 유입을 최대한 막아야 실내의 공기 제습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류창고의 경우 상품이 출고되는 시간에는 항상 열려있는데요. 그렇지 않은 시간에는 도어를 닫고 저녁과 새벽시간에 집중적으로 습도를 가동한다면 곰팡이와 결로는 생기지 않습니다.

물류창고 제습기(NED-1085)

따라서 1000평 이상이 되는 곳에서는 대형 제습기가 필요합니다. 물론 체적을 구해야 부피의 최대 제습량을 계산하는 것이 맞지만 보통 이렇게 바닥면적이 크고 천고가 10m 이상되는 곳은 나우이엘 NED-1085 제습기를 추천드립니다. 하루 1000L 이상 제습하는 기계의 소비전력이 11.3kW 밖에 되지 않습니다. 

 

한전에서 고지하는 5kW 이상인 제품은 배전반과 직접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의 전기 공사 비용이 들어갈 수 있지만, 설치 후 드레인 라인 한 곳만 설정하면 무리 없이 제습기를 사용가능하니 적절한 현장 견적 후 설치하세요.

 

이상 간단하게 물류창고 제습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결로와 곰팡이 제거에 아주 효율적이며 물류창고 내 온습도 조절에 필수인 나우이엘 NED-1085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물류창고 제습기 총판

 

 

반응형

댓글